"Amazing Grace ! How Sweet the Sound" 작성자 ☆ 큰 머슴 ☆ 2012-02-14 조회 1283

은혜의 찬송가 "Amazing Grace ! How Sweet the Sound"
"나 같은 죄인 살리신" 원 곡이 여기에서 나왔을 줄이이야
<먼저 노래를 들으면서 이 노래의 설명을 읽어 주세요>


 


 


 


             

     Amazing Grace

지금으로부터 160여년 전인 1838~39년.
지금의 미국 동부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앨러배마 주 일대에 살고 있던 체로키 인디언이
백인 이주민 국가 '미합중국'의 강제 이주령에 의해
고향에서 5천리(2000km) 떨어진 머나먼 오클라호마 주
허허벌판으로 쫓겨났습니다.
이들이 미국 기병대에 쫓겨
피눈물을 흘리며 떠난 사연을 미국사에서
'눈물의 길' 또는 '눈물의 행로'(the Trail of Tears)라 하지요. 정확히 말하면 '눈물과 죽음의 길'이었습니다.

 

화가 로버트 린드노(1871~1970)가 그린 '눈물의 길'(1942년 작)

이 그림을 보면 마치 이들이 따뜻한 담요와 말, 
마차를 갖고 떠난 것 같지만 사실은 몸에 걸친 
옷 정도밖에는 거의 갖고 갈 수 없었답니다.

그야말로 맨몸으로 쫓겨난 거지요. 
그래서 남녀노소 할 것 없이거의 대부분 걸어서 
이동해야 했고, 추운 한겨울에도 맨바닥에 
누워 잠을 청해야 했습니다.

체로키 인디언 강제이주로, 
고향에서 5천리 너머 중부지방으로 쫓겨...      
결국 추위와 굶주림, 질병으로 
얼추 4,000명이 도중에 숨졌습니다.
이 피눈물과 죽음의 강제이주는 
1839년 봄에 끝났습니다.

이때 이들이 부른 노래가 Amazing Grace였습니다.

죽은 이들을 땅에 묻으며 이 노래의 영감을 빌려 
그들의 명복을 빌었고
살아남은 이들의 힘을 북돋우기 위해
 이 노래를 불렀습니다.

이 노래를 체로키어로 번역해 
이들에게 전해 준 인물은 
이들과 함께 살면서 강제이주에 끝까지 반대해 
법정투쟁까지 하며 
이들을 도운 백인 선교사 
새뮤얼 워시스터(1798~1859)였습니다.

오늘날 체로키 인디언들은 이 노래를 
거의 애국가처럼 부릅니다.

여기에는 이런 가슴 아픈 사연이 있지요.
말하자면 과거를 기억하기 위한 투쟁입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내 영혼의 그윽히 깊은데서 세계 정상의 테너 이용훈 (1) 홍은성 2012-02-13 1498
2  주의이름 영화롭도다 인천장로성가단 지휘 윤영진 2004년 (0) 홍은성 2012-02-13 1324
3  Emma Kirkby-Mozart & Vivardi Aria (0) David 2012-02-11 1348
4  바이올린 연주 찬양 12곡 모음 (0) 노래친구 2012-02-06 1396
5  감동의 찬양 10곡 (0) 노래친구 2012-01-31 1352
6  인천장로성가단 영광송 김대현곡 윤영진편곡 2004년 (0) 홍은성 2012-01-28 1415
7  거룩한성 솔로 김은희 소나타 다끼에자쳄버 신년음악회 (0) 홍은성 2012-01-26 1336
8  피아노 연주 찬양-왕되신 우리 주께 외 (0) 정은진/T2 2012-01-24 1342
9  ♪ 이것이 오리지날 복음찬양팀의 모범적인 연주... ♪ (1) 순례자 2012-01-23 1334
10  낮엔 해처럼 밤엔 달처럼~/심수봉 (1) 총무 2012-01-23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