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善終)은 어떤 뜻인가? 작성자 순례자 2009-02-23 조회 975
선종(善終)은 어떤 뜻인가?

     

 

♣ 선종(善終)은 어떤 뜻인가? ♣ 

 

<고 김수환 추기경님의 장례에 사용된 선종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 원래 선종이란 ‘선생복종(善生福終)’의 준말이다. 

'선생복종'이란 임종할 때 성사(聖事)를 받아 대죄(大罪)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이라는 뜻으로 풀이한다. 

 

* 그러므로 선종(善終)은 "시작부터 끝까지 한 결 같이 잘함"이라는 뜻도 있으며 지켜내기 참 어려운 일이다. 

 

* 이 말의 처음유래는 좀 다른 것 같다. 이탈리아 예수회 ‘로벨리’선교사가 (Lobelli, 1610-1683)가 

중국에서 선교할 때 ‘선생복종정로’ (善生福從正路)'로 옮기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선종'이라는 천주교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 선종(善終)은 ‘선시선종’(善始善終)의 준말로 천주교 신자들의 죽음에 붙이는 천주교식 수사다.

 

* 기독교에서는 신, 구교가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다’는 뜻으로 소천(召天)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 예기(禮記)의 곡예하(曲禮下)에는 

"천자사일붕 제후일훙(天子死曰崩 諸侯曰薨) 대부일졸 사일불록(大夫曰卒 士曰不祿) 서인일사(庶人曰死)"라고 했다. 

풀어보면, 임금의 죽음을 붕(崩)이라 하고, 제후의 죽음을 훙(薨)이라 하며, 대부의 죽음은 졸(卒)이라 부르고, 

선비의 죽음을 불록(不祿)이라 말하고, 서인들의 죽음을 사(死)라고 했다. 

 

* 옛 주(周)나라의 죽음에 대한 예법이 오늘과 같을 수는 없으나 

오늘날에도 죽음은 생시의 신분에 따라 격위(格位)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조 임금의 죽음은 승하(昇遐) 혹은 훙(薨 )이라 했고, 

중전이나 대비의 죽음은 훙(薨)이나 서거(逝去)라 했으며, 

서거(逝去)라는 말은 최근에는 국가나 세계적인 인물이나 혹은 훌륭한 분의 죽음에 흔히 쓰는 말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모든 것이 주님 앞에 있습니다 (0) 장재춘/Br 2009-02-21 987
2  평화를 지켜주는 푸른 별이 되소서/이혜인 수녀 (0) 정은진/T2 2009-02-19 1184
3  이런 사람과 만나라! (0) 노래 나그네 2009-02-19 1037
4   참말과 거짓말 (0) 순례자 2009-02-18 1015
5  가정을 살찌우는 핵심 코드 ‘감사’ (0) 온누리 2009-02-18 1368
6  고향의 봄 (0) 청지기 2009-02-16 1297
7  내 삶이 너무 버거워 하는 생각이 들 때... (0) 박상일/인천 2009-02-16 1019
8  나는 배웠다 (0) 박상일/인천 2009-02-14 1104
9  중년을 즐기는 아홉가지 생각 (0) 박상일/인천 2009-02-14 1358
10  윌리엄 텔의 사과 (0) 노래 나그네 2009-02-12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