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여선생과 포드와 피아노에 얽힌 이야기...

미국 조지아 주에 '마르다 벨' 이라는 여선생님이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너무 가난한 학교라
학교에 피아노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선생님은 당시에 미국 최고의 부자였던
자동차의 왕 헨리 포드에게 1,000달러만 도와달라고
편지를 보냈습니다.

그런데 헨리 포드는
돈을 받을 때는 사정해서 받아가지만
대부분 감사의 인사도 없이 그것으로 끝났기 때문에
이 사람도 그런 사람 중에 하나일거라 생각하고는
그냥 거절할 수가 없으니까 1달러를 보내주었습니다.
1,000달러를 달라고 했는데 1달러를 보냈으니
이 선생님은 얼마나 실망 했겠습니까?
그러나 이 선생님은
"돈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1,000달러를 요청했는데 1달러를 보내주셨습니다.
저는 회장님의 뜻을 ‘주어진 여건에서 최선을 다하시오’ 라고
해석하고 싶습니다.
잘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선생님은
이 1달러를 가지고 땅콩을 사서
학교 운동장 한 구석에 심었고
얼마 후에 수확을 했습니다.
그것을 팔아 이 선생님은
더 많은 땅콩 씨앗을 사서 심었습니다.

그렇게 해마다 땅콩을 심고 거두었습니다.
5년 만에 1,000달러의 수확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피아노를 샀습니다.
이 선생님은
이런 내용으로 감사의 편지를 보냈습니다.
1달러를 보내줬는데 편지를
두 번 씩이나 보냈던 것입니다.

헨리 포드가 이 선생님의 편지를 받고
미안하기도 하고 너무 기뻐서
선생님이 요구한 돈의 10배나 되는
만 달러라는 거액을 보내면서,
“당신이야말로
내가 미국에서 만난 유일한 사람이오.
나는 당신에게 돈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을 보내오.
나는 당신을 만남으로 감동을 받았소.
얼마나 행복한지 모릅니다.”라고 썼다고 합니다.

이 선생님은
이 돈을 교육청에 보내 피아노 없는
10곳 학교에 보내주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것이 감사의 기적입니다.
우리가 만약 "100만원만 보내주십시오" 라고 했을 때,
천원을 보내줘서 받았다면 우리는 어찌할 것입니까?
"아니 이 사람이 누굴 놀리나?" 하면서 기분 나빠하며
화를 내지 않겠습니까?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이러한 기적은
결코 맛볼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 선생님은 1달러를 받고
불평과 불만을 심은 것이 아니라,
적게 주었다고 원망하지 않고
감사의 씨를 심어 더욱 큰 것으로 거두었습니다.
땅콩의 수확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를 입은 것입니다.

불평은 불평을 낳고
원망은 원망을 낳지만
감사는 감사를 낳습니다.
불평은 불행의 시작입니다.
그러나 감사하는 사람은
감사할 것들이 계속 생깁니다.
불평과 불만, 원망과 저주는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감사는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특효약입니다.
감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힘과
현실을 변화시키는 신비한
능력이 있습니다.
일이 잘 안되고 힘드십니까?
이때가 바로 감사할 때임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때가 바로 찬송할 때입니다.
이때가 바로 기뻐할 때입니다.
문제를 푸는 길은 감사하는 것입니다.
어려움 가운데서도 감사하며
사는 사람에게는 놀랍게도
축복의 길이 열립니다.
신앙인의 영적 성숙도를 알 수 있는 것은
바로 '감사'입니다.
크리스천은 건강할 때만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질병 가운데서도
감사의 조건을 찾아내려하는 사람들입니다.
일이 잘되고 수입이 좋을 때에만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일이 안 될 때라도 감사의 제목을 찾아내고,
성공할 때만 아니라,
실패 중에도, 역경 중에도,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
진정한 크리스천입니다.
어떠한 형편과 처지에서도
감사의 씨앗를 심기 바랍니다.
그 감사의 씨앗으로 인하여
풍성한 더 많은 것을 수확하며...
그렇게 거둔 것을 서로 나누며 ...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복된 삶을 이루어 가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DEC150/하늘 우러러 노래하는 큰 머슴-


♪ 조용히 흐르는~ 엘가 / 사랑의 인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