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란 무엇인가 ? 작성자 T2 이남식 장로 (순복 2005-09-06 조회 439
언어란 무엇인가?. 한번도 생각을 하지 아니하고 그냥 지나쳐 버리고, 그려 런이 치부하고 만다. 왜나면 당장에 답답함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언어의 중요성을 안다면 그냥 스쳐 가는 기분으로 있지 못할 것이다. 언어와 문자가 우리 생활 전체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언어는 일상생활 속에서 서로의 의사 소통하며, 정보를 전하는 매체이다. 만약 언어가 없어 다면 어떻게 자기의 마음의 표현을 했을 까 ?. 모르면 몰라도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자기들 나름대로 불편을 해소하려고 했을 것이나 수많은 사람이 제각기 방법을 사용한다면 세상은 烏合之卒(오합지졸)의 세상이 되었을 것이다. 말과 문자는 携手同歸(휴수동귀)하는 것과 같다, 말을 만들어내는 것은 문자로 만들어 낸다. 문자는 말의 소재이며 도구이다, 문자는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며, 슬기와 지혜의 산실이며, 표현의 도구이다. 문자는 그 나라의 국력이다. 문자는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산업생산의 원자재이다, 문자는 굴뚝 없는 산업체이다. 영국은 영어가 자기나라의 모국어로 인류사회의 통용어가 된 것은 전 세계에서 그만 큼 국위를 향상시켜 놓았기 때문이다. 자기나라의 언어를 전 세계로 알리려고 출판물을 간행하여 보급을 하고 있으며 편의 시설을 만들어 외국학생을 끓어 들려 자국에 머물게 하여 막대한 경비를 지출하게 하고, 이 수익이 천문학적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벌어 드리는 순수익이, 관광수입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예사로운 일만은 아니다. 재미 교포들은 수년도안 홍보와 노력으로 우리나라모국어 한글을 널리 보급하려고 노력한 결과 미국사회의 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 채택하여 한국어 알리기에 노력하고 있으며, 대학 진학하는데도 제2외국어로 선택하여 실시하고 있는 대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실체임을 보면, 우리나라의 국력이 그만 큼 성장하였기 때문이다, 그 뿐만이 아니다, 몇 몇 대학교에서는 한국어 학과가 개설하여, 학생을 모집하여 그 수가 늘어나고 있다. 외국인학생들이 우리 한글을 배우려 유학해오는 수가 매년증가 하고 있는 실정임을 볼 때 신발을 벗어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우리말 단어는 한자로 만들어 져 상용하고 있어 한자를 모르고는 萬能語(만능 어)를 구사 할 수가 없다. 그런데 몇 가지의 우리말 단어를 가지고 전부 아는 냥 안주하려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작금에는 각대학교 입시에 논술고사를 실하여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려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한자로 만들어진 단어를 모르고는 논리적이며,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의사를 나타내지를 못한다, 늘 사용하는 단어 10개가 있다면 과연 한자로 된 단어가 몇 개가되는 지조차도 알지 못한다. 사용하는 비중이 많은 단어는 한자단어 임에도 순수 우리말 단어로 생각한다, 법이 어렵다는 말을 한다, 사실 법이 어려운 것이 안이다, 법은 향상 우리와 접하여 살고 있는 생활 질서이다, 우리는 매끼마다 식사를 하는 것이 습관화, 관념화가 되듯이, 이러한 현상은 누가 시켜하는 짓이 아니다, 자연 발생적으로 하는 길들어진 생활 습성이다. 이와 같은 것이 법이다. 그런 왜 어렵게 생각 할 까요? 법률용어가 어렵게 생각하는 것은 한자단어로 구성된 문장이기 때문 다. 이러한 불편함을 풀어주려고 고심 끝에 암기에 편리하고, 기억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우며, 관련생활 지혜를 붙어 풀어 나가므로 지식도 겸하여 얻도록 노력하였다. 이 같은 책이 풀어 배우는 한자단어 책이다. 논술을 지도하는 교사나, 학생, 그리고 식자층, 배우러하는 사람들이 배워서 남 주나요. 여러분의 생활의 길잡이며, 능변가로, 口述客(구술객)으로 만들어 줄 수 있는 읽기만 하면 되는 책 풀어 배우는 한자단어 책이 필수도구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알림“ 순 복음 대구교회 홈 폐지 자료실을 방문하시면 사이트에서 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점에서 구입 할 수 있습니다. 250쪽 분량입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일가상 시상식을 다녀와서\" (0) 유명환장로 2005-09-04 755
2  드림교회 찬양연주곡과 가사는 대장합 기록실에 (0) amenpark 2005-09-06 472
3  \'고무칠 장로(T2), 수술마침~\' (0) amenpark 2005-09-02 476
4  사람은 늙기마련 (0) 총무 이상근 2005-09-01 473
5  이창식 장로(Bs)아들 결혼식, 이번 토요일에~ (0) amenpark 2005-09-02 436
6  오늘은 단보(9월호)를 나눠 드리는 날~ (0) amenpark 2005-09-01 411
7  좀 쉬었다 갑시다 (0) 총무 이상근 2005-09-01 510
8  채종윤 장로(T1부파트장),대구예술대 사무과장으로~ (0) amenpark 2005-08-30 492
9  제갈 태균 장로님(Br) 댁의 기쁜 일~ (0) amenpark 2005-08-30 513
10  고무칠 장로님, 서울대병원에 입원하심~ (0) amenpark 2005-08-30 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