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짐은 서로 나누어지는 것입니다. ♥ v 
장편소설 '대지'로 1933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펄 벅' 여사가 1960년에 우리나라를 처음 방문했을 때의 일입니다.
그녀는 일행과 함께 해가 뉘엿뉘엿 질 무렵, 경주 시골길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한 농부가 소달구지를 끌고 가고 있었습니다. 달구지에는 가벼운 짚단이 조금 실려 있었고, 농부는 자기 지게에 따로 짚단을 지고 있었습니다.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이상하게 볼 광경이었습니다. 힘들게 지게에 짐을 따로 지고 갈 게 아니라 달구지에 짐을 싣고 농부도 타고 가면 아주 편할 텐데...

통역을 통해 그녀는 농부에게 물었습니다. "왜 소달구지에 짐을 싣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그러자 농부가 대답했습니다. "에이, 어떻게 그럴 수 있습니까? 저도 일을 했지만, 소도 하루 힘들게 일했으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그녀는 농부의 말에 감탄하며 말했습니다. "저 장면 하나로 한국에서 보고 싶은 걸 다 보았습니다. 농부가 소의 짐을 거들어주는 모습만으로도 한국의 위대함을 충분히 느꼈습니다."
당시 우리나라 농촌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지만 그녀는 고국으로 돌아간 뒤 이 모습을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풍경이었다고 고백했습니다.

비록 말 못 하는 짐승이라도 지극히 사랑하는 마음으로 존귀하게 여겼던 농부처럼 우리는 본디 작은 배려를 잘하는 민족이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어떤가요? '나만 아니면 된다'는 식의 이기적인 사고로 꽉 차 있지는 않은가요?
내가 좀 손해 보더라도 서로의 짐을 나누어지고 함께 걷는 것. 말 못 하는 짐승이라도 존귀하게 여겼던 농부의 배려심을 닮아가는 것.
특히 코로나 시대의 고된 삶 속에서 배려심이 극도로 부족한 지금의 우리들 마음에 강한 울림을 줍니다.
 # 오늘의 말씀 #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 마태복음 25장 40절 -
아침마다 삶의 따뜻한 메시지를 싸늘하게 굳은 마음 밭에 사랑의 씨앗을 뿌려주시는 '따뜻한 하루' 담당자님의 고마운 섬김에 깊은 감동과 감사의 맘을 전하며
오는 7월 12일(月) 찬양모임 후 곧장 여름방학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어제오후 화이자 2차 백신을 맞고 다소 노곤한 컨다션으로 전국에 발송할 7월호 단보제작에 올인하고 있는... -DEC150/큰 머슴- 
 
 ☞ 윈도우10으로 제작해 음악이 들리지 않음에 DEC(대장합)홈페이지로... ☜ -www.dechoi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