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은 가정의 달!
장자자유 / 長者慈幼 : 어른은 어린이를 사랑하고 유자경장 / 幼者敬長 : 어린이는 어른을 공경하라
부생모국/父生母鞠 :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 애애부모/哀哀父母 : 슬프고 애닯도다. (이제는 늙으신)부모님이여 생아구로/生我劬勞 : 나를 낳고 기르시느라, 고생(苦生)하고 애쓰셨네
욕보지덕/欲報之德 : 부모님의 은덕(恩德)을 갚으려 해보지만... 호천망극/昊天罔極 : 그 은혜가 하늘같이 넓고 커서 갚을 길이 없구나!...
鞠 기를: 국 = 育 육 毓 육 昊 하늘: 호 = 天 천 乾 건 旻 민 穹 궁 罔 없을: 망 = 無 무 无 무 亡 무 欲 하고자 할: 욕
1. 구로지은/劬勞之恩 : 자기를 낳아 고생(苦生)하며 기른 부모의 은혜(恩惠). = 구로지감/劬勞之感 * 구로일/劬勞日 : 자기(自己)를 낳아서 기르느라고 부모(父母)가 애쓰기 시작(始作)한 날. 즉 생일(生日) * 劬 수고할: 구
2. 난익지은/卵翼之恩 : 알을 까서 날개로 덮고품어 길러준 어미새의 은혜. :즉 자기를 낳아 길러준 부모의 은혜를 비유. = 난육지은/卵育之恩 * 卵 알: 란 / 翼 날개: 익
3. 지독지애/舐犢之愛 : 어미소가 송아지를 혀로 핥아준다는 뜻. 자식(子息)에 대한 부모의 지극(至極)한 사랑을 비유. = 지독지정/舐犢之情 = 노우지독/老牛舐犢 = 연독지정/吮犢之情 犢 송아지: 독 / 駒 망아지: 구
4. 연저지인/吮疽之仁 : 전장(戰場)에서 부상당한 부하(部下)의 종기(腫氣 = 고름)를 빨아주는 장군(將軍)의 내리사랑.
참고... 舐 핥을: 지 / 吮 빨, 핥을: 연 噬 씹을. 깨물: 서 咀씹을: 저 / 嚼 씹을: 작 疽 종기: 저 / 膿 고름: 농
5. 목본수원/木本水源 : 나무의 밑동(根本)과 물이 솟아나는 근원(根源). 즉 자식된 자는 자기몸의 근원인 부모를 생각해야 한다는 말. = 음수사원/飮水思源 : 물을 마실때 수원(水源)을 생각함. 즉 근본(根本)을 잊지 않음. 자식은 부모님을 생각해야함
6. 의문의려/倚門倚閭 : 문간에 기대어 기다리고, 마을 어귀에 세워놓은 문에 기대어 기다린다는 뜻으로 외출한 자녀가 무사히 귀가(歸家) 하기를 바라는 부모의 간절(懇切)한 마음을 비유하는 말 = 의문지망/倚門之望 = 의려지망/倚閭之望
倚 의지할. 기댈: 의 閭 마을: 려
7. 孝 百行之本/ 효 백행지본 : 효는 백행의 근본이고 忍 百行之上/ 인 백행지상 : 인은 백행의 으뜸이다
8. 풍수지탄 / 風樹之嘆 : 부모님이 살아계실때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여윈 뒤에 철이들어 후회하는 자식의 비통한 슬픔
樹欲靜而 風不止(수욕정이 풍부지) :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은 그칠 날이 없고 子欲養而 親不待(자욕양이 친부대) : 자식은 봉양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주지 않네
9. 출곡반면/出告反面 : 외출할때와 귀가했을때 반드시 부모님께 아룀. = 출필곡반필면/出必告反必面 告 알릴 고할: 고 곡 面 낯 얼굴:면
<받은 글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