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야 탈출 10계명 작성자 박희중 2005-07-25 조회 1676


    열대야 탈출 10계명


    ①수면리듬을 지켜라
    수면리듬을 깨지 말아야 한다. 수면리듬이 깨지는 것은 수면위상(sleep phase)에 변화가 오는 것이다. 수면위상이란 정상적으로 잠을 자는 시간을 말하는데, 오후 11시에 취침해 오전 7시에 기상하는 것을 정상적으로 본다. 낮잠을 자거나 늦잠을 자게 되면 '수면위상지연증후군'을 초래해 밤늦게 잠이 들고 아침에 일어날 때 몹시 힘들어진다.

    ②식생활을 개선하라
    상추와 따뜻한 우유 등 숙면에 도움을 주는 음식을 섭취한다. 상추의 줄기에는 락투세린과 락투신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이 진통과 최면효과가 있다. 우유는 트리프트판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모노아민으로 변하면서 잠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효과는 우유뿐 아니라 두유·콩 등 고단백식품에 많이 함유돼 있으며, 호두·대추·호박 등도 숙면에 좋다.

    ③과식하지 마라
    점심 과식은 낮잠을 불러오고 잠자기 전 과식은 소화기관에 무리를 준다. 적당한 수분 섭취는 숙면에 도움이 되지만 과도한 섭취는 소변을 보기 위해 잠을 깨야 하므로 오히려 숙면에 방해가 된다. 또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이나 피클·마늘 등도 피하는 게 좋다. 소화불량과 장내 가스의 원인이 되기 때문.

    ④억지로 자지 마라
    억지로 잠을 청하면 오히려 심신의 긴장을 가져오게 된다. 잠이 오지 않는다고 수면제를 먹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수면제 복용 후의 잠은 피로를 회복시켜주지 않기 때문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⑤기호식품을 멀리하라
    커피·술·담배 등 각성효과가 있는 기호식품을 저녁 늦게부터는 삼가라. 적당한 술은 도움이 되지만 잠이 안 와서 마시는 것은 역효과가 일어난다. 숙면 중의 뇌파는 델타파로 나오는데 술을 많이 마시면 그 속에 각성을 일으키는 알파파가 섞이게 되기 때문이다. 숙면 중에 알파파가 뇌파에 섞였다는 것은 뇌가 완전히 쉬고 있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술을 마시면 아침 일찍 잠이 깨고 피로가 풀리지 않아 상쾌한 기분을 느끼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⑥환경을 개선하라
    잠을 자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시계소리 같은 작은 소음을 없애고 멜라토닌 분비를 줄이는 밝은 빛도 피해야 한다. 열대야의 수면 환경은 25도 정도도 적당하다. ⑦자세를 바꿔라
    반듯이 눕지 말고 오른쪽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잔다. 포근히 몸을 감싸듯이 편안히 눕고 땀의 발산이 쉬운 옷과 침구를 사용한다. 누웠을 때 자신의 주먹크기 높이의 베개가 적당하다.

    ⑧평온한 마음을 유지하라
    취침 전 독서나 음악감상 등으로 긴장을 푼다. 잠자기 전에 TV 시청을 하거나 특히 공포 영화 관람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뇌를 자극해서 깊은 잠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⑨규칙적인 운동을 하라
    매일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력을 유지한다. 운동은 자신의 체력에 맞는 수준으로, 밤늦은 시간은 피한다. 더운 여름에는 선선한 초저녁에 가벼운 운동이 숙면을 돕는다. 체온을 식히는 효과를 높이려면 초저녁 30분 정도 가벼운 조깅이나 속보·산책 등의 운동이 좋다.

    ⑩반신욕, 족욕을 하라
    취침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거나 반신욕·족욕 등으로 뇌와 온몸의 긴장을 풀어준다. 족욕은 45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20㎝ 깊이로 10∼20분 발을 담그는 것이다. 혈액순환이 촉진돼 다리에 부족한 혈액을 공급하고 노폐물 배출에 효과가 있다. 단 혈압상승이 우려되는 당뇨병 환자나 과음한 사람은 피하는 게 좋다.

    출처 : 생을 그리는 작업실


    ******************************************

    ①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고 잠자리로 향한다.
    ② 밤에 술, 커피, 콜라, 녹차 등을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다.
    ③ 자기 직전에는 수박이나 음료수를 많이 먹지 않는다.
    ④ 배가 고파서 잠을 못 이루면 따뜻한 우유를 한 잔 마신다.
    ⑤ 억지로 잠을 자려고 애쓰지 말고 거실이나
    다른 방에서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듣다가 잠이 오면 그때 자도록 한다.

    ⑥ 수면을 못 취했어도 아침에는 같은 시간에 일어나도록 한다.
    ⑦ 잠을 못잔 경우 낮에 10~20분 정도 낮잠을 잔다.
    30분 이상 자면 불면증의 원인이 된다.
    ⑧ 자기 직전에는 공포영화를 보거나 흥분되는 일을 하지 않는다.
    ⑨ 누워서 TV를 보거나 책을 보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는다.
    ⑩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하되 자기 직전에는 피한다.

    출처 : 하이텍모터스


    ************************************

    ①기상시간을 일정하게 정해 뇌 속의 생체시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②잠이 오지 않음에도 억지로 자겠다고 버티지 않는다.
    ③가벼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한다.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해가 된다.
    ④식사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특히 저녁을 거르지 않는다.
    ⑤밤늦게 과식하지 말고 카페인 음료나 담배, 술 등을 삼가 한다.

    ⑥배가 고파 잠 못 이룰 때는 우유 같은 가벼운 군것질을 한다.
    ⑦.쾌적하고 조용한 침실분위기를 만든다.
    ⑧낮잠은 20분 정도로 짧게 잔다. 30분 이상의 낮잠은 불면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⑨찬 음료보다는 신선한 야채를 먹는다.
    ⑩저녁시간에는 흥분을 피하고 편안한 마음을 갖는다.

    출처 : 스포츠한국


    ****************************************

    ①다음날 상쾌하게 느낄 정도로 숙면을 취한다.
    침대에서의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수면을 더 깊게 한다.
    ②매일 아침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기상한다.
    ③매일 일정한 양의 운동을 하되 잠자기 직전은 피한다.
    ④잠자기 전 차가운 물보다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하면
    체온을 떨어뜨리고 육체적인 긴장을 완화시킨다.
    ⑤배고프면 수면에 방해될 수 있으므로
    자기 전 따뜻한 우유 한 잔 정도의 가벼운 스낵을 먹는다.

    ⑥저녁에는 과다한 수분이나 수분이 많이 함유된
    과일(수박 등) 섭취를 피해 자다가 깨어 화장실에 가는 횟수를 줄인다.
    ⑦저녁에는 카페인이 들어 있는 음료나 술을 피한다.
    ⑧잠이 오지 않으면 자려고 애쓰지 말고 침실을 떠나 책을 읽는 등 다른 일을 한다. 다음날은 수면을 못 취했어도 일정시간에 일어난다.
    ⑨깨어서 시계를 쳐다보고 있다면 시계를 침대 밑으로 넣어두거나 덮어둔다.
    ⑩전날 밤 잠을 설쳤어도 30분 이상의 낮잠은 피하며
    식사는 제때 꼭 하고,이온음료나 계절 과일 등으로 충분히 수분 섭취를 한다.

    출처 : 스포츠투데이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삶이 버거울 때는... (0) 박희중 2005-07-19 1574
2  프라이팬 닦기 (0) 민들레 2005-07-18 1635
3  체질별 복날 나기 (0) amenpark 2005-07-17 1611
4  짜증날땐 이렇게 해보세요 (0) 박희중 2005-07-13 1527
5  치매 막는 생활습관 (0) 박희중 2005-07-12 1619
6  오징어 데칠 때 색깔을 좋게 하려면 (0) 민들레 2005-07-09 1614
7  아침, 점심, 저녁 식사 (0) 박희중 2005-07-04 1743
8  두고두고 참고하세요 (0) 총무 이상근 2005-06-30 1859
9  교통 범칙금 안내 (0) 총무 이상근 2005-06-30 1545
10  우리몸안의 색갈보기 (0) 박희중 2005-06-30 1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