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카 고르기 (2) |
 |
작성자 박희중 |
 |
2005-10-26 |
 |
조회 1680 |
 |
|
|
|
|
|
 |
|
|
|
|
프롤로그 |
|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을 선택하면 좋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 크게 다섯가지 타입의 카메라를 소개시켜 드릴테니 본인에게 꼭 맞는 디카를 한번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가격은 50만원 전후로 같은 모델이어도 화소수가 낮으면 가격이 낮아지므로 적절히 조율하시면 됩니다.
제가 소개해 드릴 디카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덕목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수동기능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단지 쓰기만 쉬운 디카는 어느 순간 반드시 그 한계를 경험하게 되므로 다시 한번 업그레이드를 감행해야 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물론 평생 자동으로만 찍으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앞으로 본 강좌를 계속 활용할 생각이시라면 수동 기능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
|
추천 디카 목록 |
| ⊙ 캐논 A 시리즈

가장 무난하게 추천해 드릴 수 있는 기종입니다. 200, 300, 400만 화소급이 있고 각각 A60, A70, A80이라고 부릅니다. 특히 A80은 하위 기종과 달리 LCD가 회전되고 CCD도 1/1.8로 화질도 매우 우수합니다. 예산만 허락한다면 당연히 상위 기종이 좋겠지만 일반적인 용도라면 A70정도가 가장 무난할 것으로 보입니다. 렌즈가 약간 어두운 것이 흠이지만 화질도 좋고 메뉴 구조도 매우 정갈합니다. 디자인과 화질의 두마리 토끼를 비교적 잘 잡아낸 기종이라고 보여 집니다.

본 기종은 전용 배터리를 쓰지 않고 일반적으로 슈퍼마켓에서도 구입이 가능한 AA타입을 사용하고 있어 유사시에 배터리를 조달하기도 좋습니다. 또 충전지 세트를 함께 구매하시면 촬영시간도 길어지고 가격도 저렴합니다. 보통 충전지 8알과 충전기를 40,000원 정도에 세트로 구입할 수 었습니다. 한번에 4알씩 들어가니깐 교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차량용 어뎁터도 함께 제공하는 충전기를 사시면 이동중에도 충전이 가능해 무척 편리합니다.
⊙ 올림푸스 C 시리즈

이번엔 조금 특이한 기종입니다. C-7xx 시리즈인데요. 10배에 달하는 줌 기능이 있어 멀리 있는 물체도 크게 찍을 수 있는 기종입니다. 동물원과 같은 곳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 놈이지요. 하지만 일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줌 배율이 높아 화질은 다소 떨어집니다. 그리고 덩치가 조금 커서 휴대하기는 불편하지만 줌 기능을 원하신다면 어쩔수 없는 부분입니다.
기종 |
화소수 (백만) |
CCD 크기 (인치) |
줌배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놀랍지요? 도대체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 할까요? 가격을 감안해서 755나 740중에 선택하시면 될듯 합니다. 사실 같은 프레임에 CCD를 약간씩 바꾸면서 해상도를 계속 올렸고 숫자가 낮은 초기버젼은 대부분 단종 되었으므로 무시하셔도 좋습니다.

또 다른 기종으로는 C-4000 이라는 기종입니다. 4비록 3배줌 밖에 안되지만 밝은 렌즈를 채용하고 있고 성능도 매우 좋습니다. 게다가 1/1.8인치 400만 화소급 CCD를 사용하고 있고 기능에 있어서 만큼은 전문가급으로 이런 가격에 만나기 힘든 기종입니다. 접사도 매우 우수하고 외장 플래쉬를 연결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플래쉬와 케이블을 사려면 돈이 좀 듭니다) 이 기종도 덩치는 좀 하는 편이어서 컴팩트한 모델을 원하시면 일단 제외하시기 바랍니다.
캐논과 올림푸스에서 소개된 기종들은 모두 렌즈 앞부분에 어뎁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렌즈를 보호하는 UV 필터를 달 수도 있고 하늘을 더욱 파랗게 찍을 수 있는 PL 필터를 달 수도 있습니다. (모르시면 일단 통과. 향후에 도움이 된다는 점만 알고 계시면 될 듯) 또한 세기종 모두 AA 타입의 배터리를 사용해서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 산요 MZ3

이번엔 조금 독특한 기종을 소개 드리지요. 비록 200만 화소급 디카이지만 엄청난 저력이 숨어 있습니다. 유독 이 기종만 640*480의 해상도에 초당 30 프레임에 달하는 고화질의 동영상을 메모리 카드가 꽉 찰때까지 저장할 수 있습니다. 1GB 짜리 마이크로 드라이브를 구입하시면 거의 캠코더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 200만 화소에 걸맞지 않게 CCD가 1/1.8 인치로 무척 큰 편에 속해 화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아직 단종이 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동영상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적극 추전 할만한 기종입니다.
⊙ 삼성 디지맥스 V4

사실 이 기종은 기본 요건은 다 갖추고 있지만 아주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왜 이 기종을 추천드리냐 하면 말이지요. 삼성의 A/S 때문입니다. 디카는 필카와 달리 고장이 날 확률이 다소 높습니다. 아무래도 전자제품이다 보니 약하고 예민하게 동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본인이 기계치고 A/S 고민하기 싫다라고 생각하시는 분은 바로 이 기종이 답입니다. 국내 디카는 사실 영세한 수입업체가 운영하다 보니 A/S 체계가 허술하기 짝이 없습니다. 이것 저것 고민하기 싫으시다면 나름대로 좋은 대안이라 생각됩니다.
|
|
에필로그 |
| 제가 소개해 드린 제품 중에 여러분이 알고 계시던 샤프하고 깜찍한 디카는 없죠? 아마 그럴껍니다. 팬시의 성격에 맞는 제품은 일단 제외하였습니다. 디카도 카메라입니다. 일단은 화질이 최우선이라 볼 수 있죠. 역시 뚝배기 보다는 장맛이죠.~
소개된 디카는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에서 추천을 한 것이니 절대적인 지표로 생각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좋은 디카들이 있습니다만 적어도 제가 써 본 기종들 중에는 초보님들에게도 추천 할만하다고 생각되는 기종들만 모아 봤습니다. 모쪼록 본 강좌가 여러분들에게 작으나마 힘이 되어 드렸으면 합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