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괄호의 올바른 명칭과 사용법 |
 |
작성자 amenpark |
 |
2007-03-10 |
 |
조회 2240 |
 |
|
|
|
괄호의 쓰임
1. 소괄호( ( ) )
(1) 언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쓴다.
보기>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3.1 운동(1919) 당시 나는 중학생이었다.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이다.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2)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쓴다.
보기> (1) 주어 (ᄀ) 명사 (라) 소리에 관한 것 (3) 빈 자리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우리 나라의 수도는 ( )이다.
2. 중괄호( { } )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쓴다.
보기> 주격 조사 {이, 가}
국가의 삼요소{국토, 국민, 주권}
3. 대괄호([ ])
(1)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쓴다.
보기> 나이[年歲] 낱말[單語] 手足[손발]
(2)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쓴다.
보기> 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에 있어서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참고문헌] 어문규정
출처: 우리말 배움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