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몸가짐의 기본" 구용(九容)에 대하여 작성자 장재춘/Br 2011-01-18 조회 1238

올바른 몸가짐의 기본" 구용(九容)에 대하여

조선시대엔 천자문(千字文)을 떼고나면 계몽편(啓蒙篇)을 읽었다
그 말미에 구용(九容), 즉 "아홉가지 올바른 몸가짐"에 대한 가르침이 있다
오늘의 상황에 비추어 구용을 살펴본다.

1. 족용중(足容重)
발을 무겁게하라, 처신을 가볍게 하지 말라는 말이다
발을 디뎌야할 곳과 디디지 말아야 할 곳을 구분 할줄 알라는것이다.

2. 수용공(手容恭)
손을 공손히하라. 인간은 손을 쓰는 존재다.
그런데 그 손이 잘못쓰이면 성희롱, 뇌물수수도 되지만, 손을 제대로 쓰면
누군가를 도와주는 일을 할 수 있다
손이 둘인것은 한손으로 자신을 돕고 다른 한손으로는 타인을 돕기 위한것이라고 한다.

3. 목용단(目容端)
눈을 단정히 하라. 단정한 눈에는 세상을 꿰뚫어 보는 힘이 있다.
제대로 볼줄 알아야 제대로 펼칠 수 있다.

4. 구용지(口容止)
입을 함부로 놀리지 말라. 물고기가 입을 잘못 놀려 미끼에 걸리듯,
사람도 입을 잘못 놀려 화를 자초하는 경우가 많은 법이다.

5. 성용정(聲容靜)
소리를 정숙히 하라. 자고로 소리 요란한것 치고 제대로 된것이 없다.

6. 기용숙(氣容肅)
기운을 엄숙히 하라. 기 싸움으로 기운이 뻗쳐 이긴다고 해서 그것이 이긴것이 아니다.
기운이 적절하게 제어 돼야하고 그것이 Leadership 의 기본이다.

7. 두용직(頭容直)
머리를 곧게 세워라.
요즘 고개 떨군 사람이 너무 많다. 다시 고개를 들고 하늘을 보라.
아직 끝이 아니다, 끝인듯 보이는 거기가 새 출발점이다.

8. 입용덕(立容德)
서 있는 모습을 덕이 있게하라.
덕있게 서 있다는 것은 서 있을 자리와 물러설 자리를 아는 것이다.
진퇴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9. 색용장(色容莊)
얼굴빛응 씩씩하게 하라.
어렵다고 찡그리지 말고 애써 얼굴 펴고 웃어라.
긍정과 낙관이 부정과 비관을 이기게하라.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틀리기 쉬운 한자 표기 (0) 김재양 2011-01-06 1201
2  겨울철 눈길 빙판길 운전 요령! (0) 순례자 2011-01-05 1806
3  세계 10대 불량음식 VS 세계 10대 건강음식 (0) 노래친구 2010-12-30 1216
4  늙은이 소리 않들으려면... (0) 젊은 일꾼 2010-12-29 1253
5  올해의 사자성어에 '장두노미(藏頭露尾)' (0) 김재양 2010-12-24 1980
6  교통사고 발생시 사고 사진 찍는 법 (0) 총무 2010-12-18 1381
7  ☞ 나의 老化정도 측정 ☜ (0) 김재양 2010-12-09 1866
8  가을 사과 한 개면 충분히 건강해진다! (0) 서재준/인천 2010-12-02 2552
9  모르고 쓰고 있는 일본식 한국말 (0) 청지기 2010-11-28 1678
10  외국인l이 본 한국인 (0) 김재양 2010-11-19 1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