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따로 물 따로 작성자 청지기 2011-11-05 조회 2588

밥 따로 물 따로

 

1. 물은 식사 2시간 전후에 마시는 것이 좋다. 

2. 물은 절대로 음식물과 같이 마시지 않는다.

 

3. 밥 따로 국 따로만 제대로 지켜도 위장병 80%를 고칠 수 있다.

4. 위장 질환 및 암에서 벗어나려면 밥과 물을 따로 먹어야 한다.

 

5. 식사 때 국을 마시면 음식물을 오래 씹을 수가 없다. 

6. 밥과 국이 위에 들어가면 위액을 묽게 만들어 소화력이 떨어진다.

 

7. 밥 따로 물 따로 실천하면 속이 편하고 소화가 잘 된다.

8. 체중도 줄어들고 식후에도 졸리지 않는다.

 

9. 소식을 해도 오래 씹으면 위에 포만감을 주고 위에 무리가 없다. 

10. 밤 10시 이후에는 일체의 음식을 먹지 않는다.

 

11. 간식을 먹지 않는다.

12. 찬 음식 찬밥을 먹지 않는다.

13. 샤워는 아침보다 저녁에 하는 것이 좋다.

 

 (“밥 따로 물 따로 음양식사법” 저자 이상문 선생)


1. 물은 식후 2시간이 지난 후부터 다음 식사 2시간 전까지는  마음껏 마실 수 있다.

 밥 따로 국 따로만 제대로 지켜도 위장병 80%를 고칠 수 있다. 

위장 질환 및 암에서 벗어나려면 밥과 물을 따로 먹어야 한다.
또한 일체의 간식을 금한다.
찬물은 좋지 않다. 미지근한 물을 마셔야 한다.

 

2. 식사 때 국을 마시면 음식물을 오래 씹을 수가 없다.

밥과 국이 위에 들어가면 위액을 묽게 만들어 소화력이 떨어진다. 
밥 따로 물 따로 하면 속이 편하고 소화가 잘 된다. 

체중도 줄어들고 식후에도 졸리지 않는다.

소식을 해도 오래 씹으면 위에 포만감을 주고 위에 무리가 없다. 

밤 10시 이후에는 일체의 음식을 먹지 않는다.

찬 음식 찬밥을 먹지 않는다.

 

3. 식후 2시간 후에도 물이 먹고 싶지 않을 때는 의무적으로 마실 필요는 없다.

식후 2시간 후에 물을 마셨는데 기운이 갈아 앉으면 1시간 후에 마셔도 좋다.

식후 2시간 후에 물을 마셨는데 변비가 생기는 경우는 1시간 후에 물을 마신다. 

식후 2시간 후에 물을 마시도록 조절할 때는 밤낮으로 잠이 오는 수가 있다.

이럴 때는 잠을 실컷 자도록 한다. 

음양 식사법으로 잠이 오는 것은

그동안 피로해 있던 신경세포가 안정되어간다는 증거이다.

 

4. 된 음식을 먹고 수분을 섭취하지 않은데 따른 직접적인 효과는 

침샘의 작용과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살균력을 강화함으로써

음식의 각종 세균들이 깨끗이 박멸되며 감기바이러스나 기타 나쁜 균이

몸 안에 침입했다 해도 그대로 물리쳐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가축 중에도 염소나 토끼는 물을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그들은 별다른 전염병에 걸리지 않는 대표적인 동물들이다.

 

5. 음식은 열(熱:陽) 에너지이고, 물은 음(蔭) 에너지라 할 수 있다.

음식을 먹고 2시간을 참게 되면

몸에서는 물을 그리워하는 강력한 힘이 생긴다. 

즉 양(陽)의 기운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때 물을 마시면 물은 체내에 들어가자마자 위장에 정체할 시간도 없이,

필요로 하는 각 장기에 적절히 흡수되어

기혈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면서 노폐물을 걸러내게 된다.

 

6. 식후 2시간 뒤 물 마시는 시간에는

음료수나 커피, 기타 물 종류는 마음 놓고 마셔도 된다. 

다만 암환자나 건강에 이상이 있는 사람은 당분 음료를 삼가야 한다.

2시간 후에 물을 마시게 되면 처음에는 많이 마시게 되지만

1개월쯤 지나면 하루 종일 가도 물 마시고 싶은 생각이 없어져

2,3일에 한 번씩 물을 마시기도 한다. 

이 때 물을 너무 적게 마시는 것은 아닐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음식에 들어있는 수분만으로도 충분히 되기 때문이다.  
 

7. 된 음식만 먹고 식사 중에

물이나 국 또는 물 종류의 반찬을 먹지 않으면,

위장은 튼튼해지고 식후의 포만 상태에서 오는 식곤증이 사라진다. 

따라서 몸은 가벼워지고 마음은 상쾌해져

최고의 쾌적 지수를 유지하며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다.

 

8. 저녁 6시 이후 밤 시간은

우리 인체가 음체질이 되어 물 기운이 일어나는 시간이므로

인체의 체질과 물음식이 상생하며 조화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부득이한 경우, 물 종류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해야 할 때는

가끔 그렇게 해도 큰 지장은 없다.

그러나 된밥만 먹는 것이 더 좋다. 

음식을 충분히 씹어서 삼키게 되면 입안의 침과 위에서 분비된 소화액에 의해

체내의 열 기운과 함께 섭취된 모든 음식이 완전히 소화 흡수된다.

과일은 식후나 식사 중에 어느 정도 먹을 수 있지만 

특히 수박은 절대 금한다.

(*수박은 이뇨작용이 심한 과실이기에 금하라는 것이다) 

 

9. 아침 공복에 물 마시는 것을 금한다. 단지 음용하는 것뿐 아니라

아침에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 수영하는 것,

아침에 매일 머리 감는 것 등을 모두 금한다.

(????? 의문이 있군요 우리의 기존 상식과는 상반되는 데요. 유노상) 

꼭 해야 한다면 저녁 식사 후 물 마시는 시간에 하는 것이 좋다. 

식사할 때는 반찬보다 따뜻한 밥을 먼저 먹고 찬 음식을 절대로 금한다.

찬밥도 먹지 말아야  한다.

 

10. 음식물을 먹으면 위산이 분비되어 위에 들어온 음식물을 녹여서

흡수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다.

즉 산(열)을 이용하여 소화하는 것이다.

이때 한참 불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물을 부으면,

피시식~~~ 소화가 중지되고 불이 꺼지게 된다.

또한 물과 음식물이 섞여 있으면 위는 모든 것을 음식물로 인지하고

그 양에 맞는 위산을 분비하게 된다. 물 때문에 위산이 나온다면,

위산을 만드는데 에너지 낭비가 되고,

또한 위산과다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물을 마실 때는 물만 마셔야 한다.

 

(“밥 따로 물 따로 음양식사법” 중에서)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우리나라 10 대 첨단기술 (0) 청지기 2011-11-02 1069
2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간단한 운동 (0) 순례자 2011-10-27 1546
3  세상에 이럴수가!!! (0) 청지기 2011-10-12 1181
4  부부는 잠을 잘 때 왜 붙어서 자야 하는가? (0) 이태직 2011-10-06 1347
5  핸드폰 분실시 찾는 요령 (0) 총무 2011-10-05 1130
6  미국의 친지 방문에 관하여 (0) 청지기 2011-09-16 1306
7  물 파스의 위력 (0) 순례자 2011-08-28 1252
8  잔치 없는 집에 잔치국수~ (0) 청지기 2011-08-25 1708
9  토마토 상식 (0) 순례자 2011-08-25 1637
10  이건희 회장 回 春 10 訓 (0) 김재양 2011-08-24 1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