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독교(개신교)의 목사님과 장로님께 고(告)함 - 1탄> 작성자 부천/이수부 2021-02-01 조회 246

< 기독교(개신교)의 목사님과 장로님께 고(告)함 - 1탄>

 

제안 : 1. 혼인(婚姻)과 결혼(結婚)을 구분하실 수 있으신가요? (성서 문제)

        2. 혼인예식을 거행할 때 신랑신부의 위치는 아시나요? (예식서 문제)

 

제안 1항에 대하여 : 성서, 개혁 개정판을 근거로(예장,2007.04.27.)

일반 사회에서 혼인과 결혼을 구분하지 않고 동의어처럼 사용할지라도

일점일획의 오류도 허용하지 않는 성서(聖書)에는 분명하게 구분되어야 합니다.

 

‘혼인’ : 마 22:1~10까지의 내용에는 “혼인잔치”라 기록하고 있다.(혼인=O)

‘결혼’ : 고전 7:8~38까지 “결혼”이라는 단어가 7회 언급하고 있다.(결혼=X)

 

‘혼인(婚姻)’은 남자가 장가가고 여자가 시집을 간다는 뜻으로 우리 고유의 용어입니다,

그래서 헌법이나 민법에도 ‘혼인’이라 하고, 남녀가 부부됨을 정부기관에 신고할 때

‘혼인신고’를 하는 것이지, 결코 ‘결혼신고’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결혼(結婚)’은 일제 강점기 35년 동안, 우리 민족의 전통과 역사를 말살, 강탈, 소각,

왜곡, 폄하(貶下)하고 일본문화 장려정책으로 도입된 일본의 용어로 “결혼(結婚)”인

것입니다.

 

*** 만약 목회자들께서 왜놈들이 35년 동안 이 땅에서 독립군에게 가한 고문과 선조들에게 저지른 만행 및 기독교 탄압과 신사참배 강요 등에 대하여 조금이라도 알고 계신다면

   “결혼(結婚)”이라는 단어를 절대로 성서(聖書)에 올려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제안 2항에 대하여 : 기독교(개신교) 예식서를 근거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기독교의 예식서 7종(사진 참조)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혼인예식’편에 신랑신부의 위치가 정반대의 위치로 세우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의 혼인예법, 관습, 문화 또는 법령에도 맞지 않으며, 국제 사회의 혼인예법

에도 맞지 않습니다.

(生者: 男東女西,  死者: 男西女東) 즉, 교회예식서는 죽은 자의 위치입니다.

 

*만약 나의 ‘제안’에 의문점이 생긴다면 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여러분이 계시는 가장 가까운 천주교 성당에서 시행하는 “혼배미사”에 참석해 보십시요.

그러면 신랑신부의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기독교(개신교) 예식서의 오류를 지적하면서, 국내 대형 교단과 12개의 신학대학교에 제가 집필한

 <글로벌 시대, 婚姻의 歷史와 文化> 기증하면서, 예식서 혼례부분에

“신랑신부의 위치”를 수정해 줄 것을 요청한바가 있습니다.

 

                                 아세아 보육신학교 (전)

                               이사장 이 수 부 목사 拜禮

ㆍ작성자 : 이수부 위의 글 다음인 859번에 <예식장 신랑신부의 바른 위치(1-기독교식)>을
올렸으나 들어가질 않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등록일 : 2021-02-01
ㆍ작성자 : 이수부 1. 위 내용에 대하여 몇 년전 예장 중소교단의 요청으로 강의를 한 적도 있습니다.
2. 저의 졸저(拙著)를 기증한 12개 신학대학중 한 곳에서 강의 요청이 왔으나 코로나로 인하여 무기한 연기됨.
등록일 : 2021-02-01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나쁜 삶을 위한 십계명 (0) 길동무 2020-12-17 221
2  ♠ 먼저 사람이 되라! ♠ (0) 로방초 2020-12-06 225
3  ★ 화나고 속상 할 때(마음이 상했을 때) ★ (0) 박희중 2020-12-06 216
4  ♧ 우리에게 준 所重한 人生交響曲 ♧ (0) 박희중 2020-12-02 236
5  ♡ 아내를 울려버린 남편의 사랑이야기~ ♡ (0) 박희중 2020-12-02 225
6   韓國은 이대로 亡할것인가?  (0) 애틀란타/김동식 2020-11-05 222
7  95%의 좋은 점을 보자  (0) 청지기 2020-11-05 212
8  사돈이라는 말의 유래 (0) 청지기 2020-06-22 266
9  노후의 친구는 ? (0) amenpark 2020-06-20 249
10  ♥크리스찬의 비상 연락망♥ (0) 순례자 2020-05-04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