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성 과 안색 |
 |
작성자 이남식장로 |
 |
2005-09-28 |
 |
조회 3034 |
 |
|
|
|
感情(감정)과 顔色(안색)
☞,옛말에 探花蜂蝶(탐화봉접)이라는 말이 있다,
男性(남성)이 여성을 탐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즉 벌과 나비가 꽃을 찾아간다는 뜻이다,
生理學的(생리학적)에서 보면 꽃의 아름다움은 생리적, 본능적인 번식을 하려는 動機(동기)에서 유발하였다고 생각한다.
꽃의 아름다워야 벌, 나비가 날아와 꽃가루를 날려 번식하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꽃과 벌은 서로 拮抗作用(길항작용))을 하는 샘이다,
☞,가을에 黃熟(황숙)하게 익은 과일 열매가 아름다운 색깔로 자기가 있는 곳을 드려보이 는 것도 꽃처럼 種子(종자)를 전파하려고 動物(동물)에게 보이기 위하여 아름다운 색깔을 가지고 먹음직스럽게 보여지는 것이다.
☞,우리인간도 마찬가지이다,
꽃처럼 아름다운 나이를 桃夭時節(도요시절)이라 한다.
복숭아꽃처럼 아름다운 나이 思春期(사춘기)를 뜻한다.
그래서 사춘기 젊은 남녀는 웃음을 참지 못하고 呵呵大笑(가가대소) 하게된다.
이는 다른 異性(이성)에게 好感(호감)을 사려는 表現(표현)이다.
그리하여 본능적인 번식활동을 하려는 자연발생적인 행동인 것이다. 웃음도 나이에 따라 변화하고 늙을수록 웃은 일이 적어진다.
나이 든 사람이 폭소작전을 보다보면 웃을 만한 素材(소재)가 안인데도 젊은이들은 爆笑(폭소)를 자아낸다,
이는 생리적인 일로 젊은 사람은 작은 일에도 자연발생적으로 웃음을 웃기 때문이다.
☞,청개구리는 주위환경에 의하여 자기의 몸 색깔을 주위환경에 맞게 변색한다. 그리고 문어나 오징어는 위급한 사항이 닥치면 검은 먹물을 배설하여 危急(위급)에서 벗어나고, 족제비도 위급한 사항에서는 惡趣(악취)를 배출하여 자기의 몸을 보호하는 행동은 의식적인 행동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본능적인 자연발생적인 행동이다.
☞,人間(인간)의 感情(감정)
인간의 감정도 의식적인 행동이라기보다 자연적 발생으로 감정의 발로가 발생한다, 이에 따른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顔面紅潮(안면홍조)에는 기쁨의 홍조가 있고, 羞恥(수치)의 홍조가 있으며, 情慾(정욕)의 홍조와 內熱(내열)에 의한 홍조가 있다.
이 紅潮(홍조)는 각 개인의 감정에서 발생하는 表現(표현)이다,
1, 기쁨의 홍조는 상대에 대한 호감의 표현으로 나타나며,
2,수치의 홍조는 자기의 잘못을 상대에게 온순함을 보여 호감을 사려는 표현이다. 낮이 붉게 진다, 또는 미안해서 어찌 할 줄 모른다는 수치의 홍조의 표현이다.
3,정욕의 홍조는 好誼(호의)아 아름다움을 나타내 상대가 흥분을 느끼게 하려는 능동적인 태도이다.
4,內熱(내열)에 의한 홍조는 체온이 상승하여 나타나는 홍조이다.
☞,顔色(안색)
1,顔面色(안면색)이 창백하면 폐장의 기능이 나빠진다는 증세이다. 그러나 백색은 純潔(순결)의 색이며, 상대의 同情(동정)을 얻기 위한 색이다.
백기는 降服(항복)을 나타낸다, 항복은 順從(순종)의 意味(의미)이다. 降者不滅(항자불멸)이라 한다, 항복하는 사람은 죽이지 아니한다는 것이다.
2,격분하면 얼굴에 푸른색을 띤다.
푸른색은 상대의 감정을 가라앉게 하며, 활동을 억제한다.
푸른 숲 속으로 들어가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감정이 가라앉은 이유가 푸른색 때문이다.
3,검정 색은 비장의 색이며 脾臟(비장)이 나빠지면 검정 색을 띤다, 검정은 무저항이 표시이며, 凶測(흉측)함을 나타내 접근을 못하게 한다.
☞,붉은 혈색
은 動脈性充血(동맥 성 충혈)로 심장활동이 강하게 펌 푸 질을 힘차게 하여 피의 순환이 빠르게 흐르고 있어 산소소비를 못하고 산소 량이 많이 남아 있은 증거이다.
이처럼 心臟(심장)의 활동이 강하게 旺盛(왕성)하면 얼굴이 붉어지고, 身熱(신열)이 발생하여 얼굴이 붉어지며, 기쁨이 충만해도 안색이 붉어진다. 그리고 술에 醉(취)하여도 얼굴이 붉어진다.
붉은 色(색)은 파장이 길어 陽色(양색)이기 때문이다.
心臟性(심장성) 浮腫(부종)은 水症(수증)으로 褐色(갈색)이나, 赤紫色(적자색)을 나타낸다,
그리고 심장성 부종은 주로 얼굴 눈두덩에 잘 나타나며. 하지부종은 혈액순환 장애로 주로 하지에 발생한다.
☞,靑色(청색) 血色(혈색)
靜脈性(정맥성) 充血(충혈)로 나타난다
이는 심장활동이 약하여 산소 소비가 많아 산소 량이 거의 없는 상태이고 간장은 심장의 활동을 절제시킨다.
☞,靑色(청색)의 特徵(특징)
청색은 파장이 짧아 감정을 가라앉히며, 활동을 억제하는 색이다.
숲 속으로 가면 까닭도 모르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낀다.
이는 청색의 성질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사나운 말이나 소에게 푸른색을 보이면 사납든 짐승이 온순해 진다
그러나 안색이 푸른 사람은 신경질적이고 화를 잘 내며, 분을 나타내면 얼굴이 푸려진다. 忿怒(분노)는 鬪爭(투쟁)의 動機(동기)가 된다, 간장은 투쟁의 장기이다 고로 간은 청색을 지배한다.
☞,脾胃(비위)가 약하면 黑色(흑색)을 띤다.
비위는 흙과 같다, 왜 그럴까?
한의학적인 고찰에 의하며 비장은 피를 만들고 위장은 영양분을 흡수하여 몸을 길러 내는 장기라 한다.
흙이 生食物(생식물)을 자라게 하는 理致(이치)와 같다는 뜻이다.
☞,消火器管(소화기관)이 튼튼하면 안색이 黃色(황색)과 潤氣(윤기)를 나타낸다. 우리민족은 黃色人種(황색인종)이다,
그러므로 黃色(황색)에 潤氣(윤기)를 더하면 건강한 사람의 얼굴이다.
☞,顔色(안색)의 變化(변화)
안색은 환경과 氣候(기후) 그리고 體質(체질)에 따라 고유색이 있다. 농촌에서 일을 하는 농부, 또는 路上(로상)에서 장사를 하는 노점상인들은 얼굴의 안색이 멜라닌 색소의 沈着(침착)으로 안색이 검어지는 가하면, 셀러리맨의 안색은 그늘 안에서 職務(직무)를 수행하여 안색이 흰색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건강에 무관하게 안면 색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멜라닌색소 沈着(침착)에 의하여 검은 안색은 潤氣(윤기)와 生氣(생기)가 있으면 건강하고 정력이 강하다,
건강한사람을 氣色(기색)이 좋다, 身受(신수)가 좋다고 말을 한다.
검은 안색에 윤기가 없고 까맣고 말쑥한 사람은 脾胃(비위)에 疾病(질병)이 있는 사람이므로 전문의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건강한 사람이라도 날씨가 춥거나 恐怖(공포)를 느끼면 안색이 흑색으로 변한다, 이때는 感情(감정)에 의하여 안색이 변한 것으로 일시적인 현상으로, 要因(요인)만 제거하여 주면 바로 원상태로 回復(회복)된다.
☞,顔面(안면)蒼白(창백)
폐장에 질병이 있으면 안면 색이 창백하게 나타난다.
근심과 憂愁(우수)가 있으면 한숨과 안면 蒼白(창백)이 나타난다.
그러나 태어날 때부터 피부색이 흰 피부를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이 있다. 피부색이 희고 윤기 즉 기름기가 흐르면 度量(도량)이 큰사람이며, 이와 같은 사람 중에는 貴人(귀인)이 많고 豪氣滿發(호기만발)하는 사람이 있다,
☞,가을을 天高馬肥(천고마비)의 季節(계절)이라 한다.
가을은 滿山紅葉(만산홍엽)으로 千里行龍(천리행용)이 오색단풍으로 산하를 물들어 놓는 다,
그리고 낙엽의 오색은 죽음을 뜻하고, 憂愁(우수)를 나타낸다,
낙엽에는 반드시 다섯 가지의 색을 가고 있으며 오색으로.黃, 紅, 淸, 白 ,黑(황홍청백흑)으로 感性(감성)에 의하여 표현하는 인간의 感性(감성)의 色(색)이다.
인간의 감성을 잘표현하는 색이 가을 낙엽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