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 빼기 |
 |
작성자 이남식장로 |
 |
2005-09-28 |
 |
조회 2645 |
 |
|
|
|
살 빼기
☞,살을 빼려하는 마음이 있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살을 빼겠다하는 의지력보다도 살이 빠진다하는 확신이 필요하다,
살을 빼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藥物療法 (약물요법)이 있고,
手術療法(수술요법)이 있으며,
缺食療法(결식요법) 그리고
食餌療法(식이요법)과 運動療法(운동요법)이 있고,
韓方療法(한방요법)이 이용되기도 하나, 개인의 유전환경, 체질조건, 생활상태, 건강의 요건을 고려하여 선택하여 실시하여야 부작용이 없으며, 비록 체중이 감량 되였다 해도 사후관리를 잘못하면 요요現狀(현상)이 발생한다.
☞,요요 현상이란 辭典(사전)에도 없는 말이다,
단지 장난감으로 사용하는 요요 가 회전운동에 의하여 위로 올라 가갔다가 아래로 되돌아오는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말이다.
☞,돈이 소용되지 않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살빼기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이 방법은 高血壓(고혈압)환자, 狹心症(협심증)환자. 동맥경화 등 心血關係(심혈관계) 疾患者(질환자)는 易置点(역치점)을 고려해서 무리하게 하여서는 안이 되므로 注意力(주의력)이 필요하다.
易置点(역치점) 이란 ?
역치점은 어떠한 선의 기준 점을 말한다. 쉽게 풀이하면 고비라 할 수 있다. 즉 고비는 가장 중요한 機會(기회) 또는 막다른 決定(결정)을 뜻한다. 고개 길 능선을 말할 수 있다,
易置(역치)에는 감정의 역치가 있고, 운동 역치가 있다
감정의 역치는 애정의 선을 넘어버리는 것이요,
운동 역치는 운동의 한계선을 넘어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한번 역치를 넘어버리면 되돌릴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많다.
마라톤 선수가 心肺(심폐)의 역치를 넘으면 사망하게 된다.
이는 한순간의 事故(사고)로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의 지병을 알고 있는 사람은 易置点(역치점)을 넘지 아니하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살빼기방법
生覺(생각)은 항상 結果(결과)를 낳는 다.
살이 빠진다는 確信(확신)을 하면, 慫慂(종용)하지 아니해도, 자신이 시행하게 된다. 유산운동을 하게 된다.
살빠지는 가장 좋은 운동은 유산운동이다,
걷는 것은 자유자제로 속도와 운동량을 자기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지방이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은 가장 낮은 운동에서 지방이 分解(분해)되 에너지로 사용된다,
가장 낮은 운동은 걷기 운동이다. 걷은 운동은 피로가 적으며, 長時間(장시간) 걸을 수 있어서 좋다,
처음에는 몸 속에 있는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에너지로 사용하지만, 운동 후 15분 정도 지나면 산소를 공급받아 지방을 분해하여 운동에너지로 사용하게된다,
그리고 운동의 농도가 높은 운동 快報(쾌보)나, 速步(속보), 빠른 걸음을 걷게되면, 체내의 糖質(당질)을 이용하여 에너지로 소비하여 發汗(발한)이 나고 心肺機能(심폐기능)이 向上(향상) 된다.
힘든 운동보다는 유산운동처럼 피로하지 않게 매일 할 수 있는 유산운동이 살을 빼는 되는 더욱 효과적이다.
☞,운동의 효과는 언제 느낄 수 있나?
운동강도가 낮은 운동에서 지방이 소비되지만 體脂肪(체지방)이 연소하려면 운동 후 최소 20분 이후에 연소하기 시작하므로 한번 운동하는 시간이 30분 이상 지속시간을 유지하여야하며, 피부가 운동신경의 기억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72시간을 넘어야 피부가 운동시간을 기억해 낼 수 있다.
그리고 감각으로 실체 체중의 감량을 알 수 있거나, 육안으로 알 수 있으려면 90일 이상 꾸준히 운동을 하여야 효과를 얻는 다,
그리고 체중감량 운동은 주 5일 이상 지속적인 운동을 하여야하고 건강을 유지하려면 주 3일 동정이면 충분하다,
이를 3,3 운동법칙이라 한다.
운동은 아침운동보다 저녁 해질 무렵 오후4-5시 사이 운동이 가장效果的(효과적)이다.
이른 아침운동은 면역이 떨어지며, 타액분비가 적게 분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코에서 분비하는 항체IGA가 분비하지 않는 다.
아침에는 이슬과 안개로 인하여 濕邪(습사)가 피부를 통하여 몸 안으로 침투하여 질병을 발생시킨다. 신경통의 주원인이 된다.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시간은 오전 6시와 오후 6시이다.
이 시간에 交感神經(교감신경)과 副交感神經(부교감신경)이 서로 임무를 교대하는 시간이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 일을 한다, 교감신경은 하려하고 부교감신경은 억제하려는 운동을 한다.
이른 새벽운동은 수면 중에 억제 되였든 교감신경이 억제에서 풀여나 교감신경이 向進運動(향진운동)을 하는 시간이므로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기온의 차이로 뇌졸중의 發病律度(발병율도) 가장 높게 나타난다.
☞,줄넘기운동
줄넘기는 종아리 가자미 근육과 腓腹筋(비복근) 그리고 팔뚝을 사용하여 운동을 하므로 허벅지근육, 엉덩이근육은 이용되지 못하며, 뛰는 운동이 되어 관절에 무리를 준다.
☞,자전거 타기 운동
자전거 타는 운동은 會陰部(회음부)와 睾丸運動(고환운동)에는 가장 효과적인 운동이다,
그러나, 전신운동으로서는 부적절한 운동이다,
☞,筋肉(근육)
근육에는 피를 흐르게 하고, 호흡을 하며, 음식을 먹고, 말을 하며 노래를 하게 하고,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운동근육이 있습니다
그리고 몸을 움직여 보행을 하면,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골격근이
있습니다 그 외 細分(세분)하면 근육의 종류만 해도 500개가 넘게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거듭 강조하는 운동은 유산운동으로 걷기 운동이이다.
유산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건강유지는 물론이고 살을 빼는 데는 최상의 방법이다.
반드시 유산운동이 살을 뺀다는 信念(신념), 그리고 確信(확신)을 가지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