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에 이 갈이를 왜하는 가?
사람들은 복(福)을 좋아한다.
그리고 복(福) 받기를 좋아하며, 특히 수복(壽福)을 좋아하여 장신구(裝身具), 의복(衣服), 베개 등에 수복(壽福)이라는 글자를 써 놓는 다,
오복(五福)에는 수(壽), 부(富), 강령(康寧), 유호덕(攸好德), 고종명(考終命)이 있다,
유호덕(攸好德)은 도덕(道德)을 잘 지키며, 남에게 베푸는 것을 복으로 여겼으며. 고종명(考終命)은 자기 명대로 잘살다가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복으로 생각한다,
신체적 복중에 가장 큰복은 치아(齒牙)를 오복의 하나로 여겨오고 있다.
이가 건강을 유지하는 되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건강뿐만 안이라 아름다음의 상징이다, 그래서 호치(晧齒)를 가지고 있은 여인을 미녀라 한다.
그래서 세간에서는 아름답게 보이기 위하여 치백(齒白)치료를 받기도 한다.
복이 달아나는 소리가 수면 중에 고막을 진동시킨다.
잠을 자는 중에 옆에서 자는 사람이 이 갈이 하는 소리를 듣게되면 솔음이 끼친다. 불길한 예감이 들기도 한다.
여하든 기분 좋은 소리는 안이다.
그러면 왜 이 갈이를 하는 가?
이 갈이를 하는 본인은 이 사실을 모르고 있는데 심각성이 있다.
이 갈이는 수면 중에 발생하며,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첫째, 심한 스트레스에 의한 반사적 작용이라는 설이 있으며.
두 번째는, 코에 염증, 비염이 있으면 입안이 소양증(搔痒症)이 발생하여 입안이 가려워서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위라는 설이 있고,
세 번째는, 치아의 정렬이 바르지 못하여 교합작용이 잘 되지 안이하여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이라고 한다.
이 갈이가 나뿐 이유
이 갈이를 하면 음식을 저작작용(咀嚼作用)을 할 때 보다 4배 이상 힘이 소모되므로 치아가 빨리 손상을 받는 다는 것이고, 턱관절 특히 하악(下顎)관절(關節)이 손상을 받으며, 입을 벌여 씹게 하는 저작근(咀嚼筋)이 탄력을 잃게 된다.
저작근(咀嚼筋)이 탈력(脫力)을 잃거나, 하악관절(下顎關節)에 변형이 발생하여 안면모양(模樣)이 변하게된다
치료방법
약물치료, 심리치료, 교합장치 설치 등을 응용한다.
교합치료는 치아정렬을 바르게 하여 이 갈이를 예방하고 턱관절 저작근을 보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