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의 단골손님 감기 너 누구니? 작성자 홈피지기 2012-02-08 조회 945

 

 

 

 

내 몸의 단골손님  감기 너 누구니? 

 

겨우내 여기저기서 콜록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아이들도 콜록콜록, 부모님도 콜록콜록, 남편, 아내도

콜록콜록~. 감기처럼 흔한 병도 없지 싶다.

 

그러다보니 감기에 대처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소주에 고춧가루를 풀어 마시고 한숨 자면 낫는다.

 

그저 병원에 가서 주사 한방 맞는 게 최고다.

사우나에 가서 땀을 쭉 내야한다 등 . 열나고, 콧물에

재채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복잡 미묘한 감기.

 감기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각 증상별 대처법 등

감기의 비밀을 속속들이 캐보자.

     

◈ 추워서? NO- 바이러스가 주범 ◈ 

 

감기는 단순히 몸이 피곤하거나 추운 곳에 오래 있다고

걸리는 것은 아니다.

 

제일 추운 남극에 사는 사람들은 오히려 감기에

잘 걸리지 않는다.

 

너무 춥다보니 감기의 주범인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왜 유독 겨울에 감기 환자가 많은 걸까?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전문 교수는 “날씨가 추워지는

환절기나 겨울철에 우리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환자가 더 많아지며, 특히 건조한 공기는 호흡기

점막의 방어력을 떨어뜨린다.”고 말한다.

 

결국 시기적으로 우리 몸의 면역력이 떨어질 때

감기가 잘 찾아오는 것이다.

 

 감기를 일으키는 주범은 100여 개가 넘는 다양한

감기바이러스들로, 그중 라노바이러스가 가장 흔하다.

 

 우리는 감기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될 수 있지만,

        감기바이러스는 건강한 사람 몸 안에서 약을 펼치지 못한다.

펼치지 못한다.

때문에 같은 공간에서 똑같이 활동해도 누구는

감기에 걸리고, 다른 누구는 감기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 감기 치료제는 있다? 없다! ◈ 

 

감기의 증상은 다양하다. 크게 나눠보자면 콧물이나

코막힘, 발열 등이 나타나는 코감기가 있고 목의

통증(인후통)과 목마름 등이 나타나는 목감기,

기침이나 가래 등이 나타나는 기침감기 등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 하나의 상만 나타나지 않고

여러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감기는 예방이 불가능하다. 전문 교수는 “감기바이러스가

너무 다양할 뿐만 아니라 해마다 변이를 해 치료제를

개발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때문에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감기약들 역시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이지, 감기를 낫게 하는 약이 아니다.

  

하지만 열이 나거나 목이 아프고 몸살, 두통 등이

있을 때는 해열제와 진통소염제를, 또 가래나 기침이

 심할 경우에는 가래를 삭이고 기침을 억제하는 거담제나 진해제를 처방받는 것이 좋다. 

     

◈ 독감은 감기와 별개~ ◈ 

 

어떤 사람들은 독감이 독한 감기라고 생각한다.

물론 감기와 독감은 모두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질환이지만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와

감염경로가 다르다.

 

전문 교수는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데

감기보다 호흡기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고,

고열이나 두통, 근육통 등 전신증상이 동반된다.”며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노인이나 만성질환

환자들은 출혈성 기관지염이나 폐렴, 심하게는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합병증이 올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를 요한다.“고 조언한다.

 

독감은 인플루엔자라는 특정 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에 감기와 달리 예방백신이 있다.

 물론 예방접종을 한다고 해서 100% 독감이

예방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독감에 걸려도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독감 증상을 훨씬 가볍게 넘길 수 있다.

   

◈ 감기에는 휴식이 최고! ◈ 

 

감기가 왔을 경우에는 증상 완화를 위한 적절한

투약과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그렇다면 예방 · 대처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 1. 손 씻기 ♣ 

 

전문 교수는 ‘손 씻기’를 제일 효과적인

감기 예방책으로 꼽는다.  

        감기는 입을 통해 옮기보다 공기 중으로,또을 통하 

콧물 등에 들어 있는 감기 바이러스가 기침을 통해

전염되거나, 습관적으로 코를 만지거나 재채기를 하면서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의 손에 옮겨지고

그 사람이 자신의 코나 얼굴 등을 만지면서

옮겨지는 것이다.

 

특히 유치원이나 놀이방 생활을 하는 유 · 소아들은

항상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며, 외출 후나 학교 · 사무실 등에서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좋다.

  

♣ 2. 비타민 C 섭취하기 ♣ 

 

감기 기운이 있거나 초기라면 귤, 키위 같은 비타민 C가

들어 있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 등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암을 극복할 수 있는 다른 길 (0) 김재양 2012-01-11 1005
2  고혈압, 뇌일혈, 동맥경화 예방 (0) 홈피지기 2012-01-02 1130
3  기적의 걷기 치료법 (0) 김재양 2011-12-12 1027
4  현대의학으로 치료 불가능한 불치병에 관하여... (1) 홍은성/뉴욕 2011-12-03 7632
5  관절 회춘법 (0) 김재양 2011-11-11 1875
6  건강한 치아를 가질 수 있는 방법 (0) 노래친구 2011-11-05 1353
7  건강비결 50 (0) 청지기 2011-11-05 1373
8  인생_ 연장전까지 사는 28가지 방법 (0) 김재양 2011-07-04 1569
9  ♣ 심장이 가장 위험한 다섯 순간 ♣ (0) 총무 2011-06-30 1372
10  충격적인 감기약의 진실 (0) 큰 머슴 2011-06-29 16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