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도리와 모자 ♣
강추위엔 ‘모자보다 목도리가 우선’ 호흡기에 가까워서 특히 청결해야

강추위가 몰아칠 때 집 밖으로 나서려면 모자, 목도리, 장갑, 귀마개, 마스크를 고루 갖추는 것이 좋다.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건강 전문가들은 첫째 목도리, 둘째 장갑 이라고 말한다.
경희의료원 신경과 윤성상 교수 는 “모자와 목도리 중 하나만 고르라면 목도리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목이 보온에 특히 중요한 것 은 이 부위가 추위에 민감할 뿐 아니라,이곳에는 뇌로 올라가는 굵은 혈관 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 혈관이 수축되면 뇌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면 외부의 강추위에 머리가 아픈 증세 를 느낀다면 뇌중풍의 경고 신호일 가능성이 있다.
이럴 때는 곧바로 실내로 들어와 방한 장비를 갖추거나 아예 실내에 머물러야 한다 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과거 체온의 40~45%가 머리를 통해 손실 된다는 연구 결과 가 있었고,‘머리를 통한 체온 손실’ 이 상식처럼 믿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상식으로 밝혀졌다.
‘영국 의학저널’에 발표된 논문 에따르면 다른 신체 부위보다 머리를 통해 더 많은 체온이 손실된다는 증거는 없다.

▶ 심장에서 멀수록 추위 많이 탄다.
목과 더불어 강추위에 약한 부위 는 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몸의 말단부, 즉 손, 발, 귀, 코 등이다.
경희의료원 피부과 김낙인 교수는 “심장에서 먼 말단 부분은 따뜻한 동맥혈이 잘 오지 않고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동상에 걸릴 위험이 높다”
노약자의 경우 뇌중풍 같은 치명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 이다.
며 “혈액이 말단까지 잘 이동할 수 있도록 장갑을 끼고 두꺼운 양말을 그는 “아주 추울 때 밖으로 나가면 ‘머리가 시리다’ 며 외부 공기에 노출된 머리를 가장 먼저 보호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며 “그러나 뇌 부위는 자율 조절 능력이 상대적으로 좋은 반면 목은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므로 우선적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어 따뜻하게 보호해 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특히 당뇨병이나 내분비질환, 동맥경화증 환자 는 말단의 혈액 순환이 더욱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에 겨울철 액세서리를 단단히 준비해야 한다.
▶ 목도리는 청결이 중요
목도리는 다른 의류에 비해 세탁을 소홀히 하기 쉽다. 하지만 호흡기와 가까운 곳에 있는 물건이라 청결이 중요하다. 세균, 감기 바이러스나 독감바이러스 등이 그대로 호흡기로 들어와 알레르기, 감기, 천식 등을 유발하기 쉽다. 특히 집먼지, 진드기 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원인물질이다.
습하고 따뜻하며 먼지가 많은 목도리, 옷, 이불, 소파 등에서 잘 번식하고 사람의 피부에서 떨어진 비듬 등을 먹고 산다.
모자 쓰는 것은 큰 補藥이다.
모자를 쓰는 것은 ‘밥솥 뚜껑’과도 같은 기능 이 있어 건강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래서 필자는 주변 사람에게는 물론 특히 고령자에게 모자를 즐겨 쓰라고 권장합니다. 지난 2011년 10월 31일은 인류 역사에 특별한 날 이었습니다.
필리핀에서 ‘70억 명 째 가족’ 을 맞이했다는 소식이 사진과 함께 외신을 타고 우리 곁에 다가왔습니다. 폭발적인 인구 증가에 따른 사회적 이슈는 아랑곳하지 않고 엄마 품에 안긴 귀여운 ‘70억명 째 꼬맹이’의 새근거리는 숨소리가 마치 가까운 곳에서 들려오는 듯했습니다.
특히 예쁜 털실로 짠 캡을 쓰고 있는 꼬맹이가 정말 귀여웠습니다.
그때 문득 병원 신생아실에서 ‘꼬맹이’들이 캡을 무슨 유니폼처럼 쓰고 있는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언제부턴가 이런 ‘풍경’이 전혀 이상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한편으론 신생아에게 캡을 씌우는 것이 참으로 진일보한 사려 깊은 의학적 조치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신생아는 체온 조절 기능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라 체온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는 것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어른의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