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골(頭蓋骨)
두개골은 10종류28개의 뼈의 봉합관절로 결합되고 있다.
봉합의 종류에는 관상봉합(縫合)과 ᄉ자 봉합(縫合)이다.
두개골은 뇌를 보호하는 기능이외는 다른 기능은 없다.
두개골과 생명유지와는 아무런 영양을 받지 아니하고 수술 후 봉합은 접착제(스테플러)를 사용한다, 또는 나사로 봉합한다.
☞두개골(頭蓋骨)의 종류
두개골은 총10종류이며, 뼈의 수는 28개이며, 전두골 정드골 후두골, 측두골 접형골, 갑개 사골 서골 누골 비골이 잇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전두골(前頭骨),
앞이마 뼈로서 정수리를 중심 하여 眼窩天井(천장(天障))까지 를 말하며 관상봉합으로 연결하고 있다.
봉합선(縫合線) 피셔(fissure)는 1-2연후에 골경화(骨硬化)로 없어지며 그 이전까지는 태아의 숫구멍이라 한다.
2),정두골(頂頭骨)
정수리 네모꼴로 시상봉합관절(縫合關節)이다.
전두골과 정두골 연결관절은 관상봉합관절이고, 후두골과 정두골 부위는 관절은 ᄉ 자 봉합관절이다,
◉측 두골(側頭骨)은 접형골(蝶形骨)의 대익(大翼)에 연결하고 있다.
3),후두골(後頭骨)
두 개관 두개밑바닥에 있는 모름 꼴 주거모양이다,
후두두개바닥중앙에는 큰 후두구멍이 있어 척추관(脊椎管)이 통과하고있다.
4),측두골(側頭骨)
안와 위에서 귀 두 쪽으로 두 개 밑 후두연결선 까지
측두골 위에 외이(外耳)도(道) 구멍과 비(鼻)눌 이 있다.
측 두골 후방에 암성부문인 외이도(外耳道) 주위에 고실(鼓室)이 있다.
양쪽 측 두골 안에 청각감각(聽覺感覺), 평형감각(平衡感覺)기관이 있다
5),접형골(蝶形骨)(小翼/大翼/體/翼狀突起)
두개 바닥중앙에 나비모양의 뼈, 구성 체, 소익(小翼), 대익(大翼)의 날개가 있고 밑 부위에는 날개돌기가 있다,
접형골(蝶形骨)에는 원형(圓形)구멍, 타원형(橢圓形)구멍, 뇌막동맥구멍이 있다.
뇌막동맥구멍 속으로 상악신경, 하악신경, 중뇌동맥이 통과한다.
소익, 대익 사이로 안와 시각신경, 혈관이 통한다.
접형골(蝶形骨) 체상(體狀)에 말안장모양의 오 묵 한곳에 뇌하수체가 있다. 뇌하수체는 내분비 기관이다,
접형골체(蝶形骨體)는 공강(空腔)이다 그래 접형(蝶形)동(洞)이라 하며 코와 연결되어 있다
2, 안면두개골(顔面頭蓋骨)
1),코뼈에는 비갑골(鼻甲骨),서골, 사골(篩骨)누골(漏骨), 비골(鼻骨)이 있다.
2) 안와골(眼窩骨)
안와 상벽(上壁)에 전두골이 연결
하벽에 상악골
외측에 접형골(蝶形骨), 권골
내측에 사골(篩骨)이 서로 연결
안와 후방에 시각신경 뇌신경과 혈관이 흐르고 잇다.
◐두개골(頭蓋骨)속에는
두개강(頭蓋腔), 비강(鼻腔), 안와(眼窩)가 있다
안와에는 평형감각기 시각감각기가 있다.
☞두 개강(頭蓋腔)
천정(天井)과 바닥으로 구분되며,
두 개강에는 뇌두개(腦頭蓋), 안면두개(顔面)(頭蓋)가 있다
◐두개강 위쪽에 전두엽(前頭葉)을 담은 앞 두개오목이 있고
안와(眼窩) 뒤쪽에 측두엽(側頭葉)이 있는 중간두개오목이 있고,즉 안와 뒤쪽에 소뇌(小腦), 연수(延髓)의 그릇 뒤 두개오목이 있다.
◐ 안와 뒤쪽에는 측두엽(側頭葉)오목과 소뇌(小腦) 연수(延髓) 오목이 있다.
◐골비강(骨鼻腔)
얼굴중앙에 있으며 비중격(鼻中隔)으로 나누며 비중격(鼻中隔)은 사골(篩骨)과 서골(鋤骨)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비강(鼻腔)측벽(側壁)에는 갑개비도(甲介鼻道)가 있다
◐갑개(甲介)의 끝은 약간 말러져 있다
상갑개비도(上甲介鼻道)는 ,사골동(篩骨洞) 뒤쪽에 개구되어 있고
중갑개비도(中甲介鼻道)는 상악동(上顎洞) 전두동(前頭洞) 사골 동(篩骨洞)
하갑개비도(下甲介鼻道)는 코 눈물관이 있다
접형골동(蝶形骨洞)은 비강뒤쪽에
각 비갑개는 하나로 합쳐지며 이를 비인도(鼻咽道)라하며 인두와 연결된다.
중(中), 하갑개(下甲介)는 정맥망(靜脈網)이 많아 비갑개정맥총(叢)을 형성 비갑개가 두껍다
비점막에는 장액, 점액세포가 있어 콧물이 분비한다.
일일 1000cc 정도 알레르기 시는 더욱 많이 분비한다.
비강 속에는 공소가 개구하여 부비동(副鼻洞)을 형성한다.
부비동에는 4개가 있다
제일 큰 부비동이 상악동(上顎洞)이며 상악동의 개구(開口)은 위쪽으로 되 농이 흘려 나오지 못하여 축농증을 유발한다.
1),상악동은 상악골에 있고 반월열공(半月裂孔)되여 있다.
2),전두동(前頭洞)은 반월열공(半月裂孔) 끝에 개구하며.
3),접형골(蝶形骨)동(洞)은 접사함요(蝶篩陷凹)로 되 있으며
4),,사골동(篩骨洞)은 앞쪽 사골누두(篩骨淚斗)로 통한다
이들 부비동(副鼻洞)에는 섬모점막상피(纖毛粘膜上皮)로 덮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