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동의 글 / 어느 아버지와 딸 이야기 ♥ 작성자 amenpark 2010-01-28 조회 1391

 

감동의 글 / 어느 아버지와 딸 이야기

비오는 어느 날 점심 때,

음식점 출입문이 열리더니
여덟 살쯤 되어 보이는 여자 아이가
어른의 손을 이끌고 느릿느릿 안으로 들어왔다.

두 사람의 너절한 행색은
한 눈에도 거지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퀴퀴한 냄새가 코를 찔렀다
주인 아저씨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그들을 향해 소리쳤다.

"이봐요!! 아직 개시도 못했으니까~
다음에 와요!"
여자 아이는 아무 말 없이 앞 못보는
아빠의 손을 이끌고
음식점 중간에 자리를 잡았다.

주인 아저씨는 그 때서야
그들이 음식을 먹으러 왔다는 것을 알았다.

"저어... 아저씨! 국밥 두 그릇 주세요"

"응 알았다...
근데 얘야~ 이리 좀 와 볼래."

계산대에 앉아 있던 주인아저씨는
손짓을 하며 아이를 불렀다.
"미안하지만 지금은 음식을 팔 수가 없구나.
거긴 예약 손님들이 앉을 자리라서 말야."

그렇지 않아도 주눅 든 아이는
주인아저씨의 말에 낯빛이 금방 시무룩해졌다.
"아저씨~ 빨리 먹고 갈게요.
오늘이 우리 아빠 '생일'이에요."


아이는 비에 젖어 눅눅해진 천 원짜리 몇 장과
한 주먹의 동전을 꺼내 보였다.

"알았다. 그럼 빨리 먹고 나가야한다."
잠시 후 주인아저씨는
국밥 두 그릇을 갖다 주었다.
그리고 계산대에 앉아서
물끄러미 그들의 모습을 바라보았다.

"아빠~ 내가 소금 넣어줄게."
아이는 그렇게 말하고는 소금통 대신
자신의 국밥 그릇으로 수저를 가져갔다.

그리고는 국밥 속에 들어 있던
고기들을 떠서 앞 못 보는
아빠의 그릇에 가득 담아주었다.

"아빠 이제 됐어... 어서 먹어...
근데~ 아저씨가 우리 빨리 먹고 가야 한댔으니까...
어서 밥 떠... 내가 김치 올려줄께..."

어느새

수저를 들고 있는 아빠의 두 눈엔
눈물이 가득 고여 있었다.

그 광경을 지켜보던 주인아저씨는
조금 전 자기가 했던 일에 대한 뉘우침으로
그들을 바라볼 수가 없었다.

 

그리고

자신도 모르게 두뺨에 흘러내리는 눈물을
조용히 닦고있었다.


- 어느 좋은 글을 읽고 옮김 -



세상의 화려함과 부요함만 쫓다보면
마음은 점점 강팍해지고 메마르게 됩니다.
세상을 향한

따듯한 사랑이 담긴 시선이 필요합니다.

 

요즘처럼,
아이티 지진과 중남미의 폭우로 인한 재앙 속에

나라 안에선 세종시 문제로 삿대질하며 소란한데다

북한에선 서해를 향해 대포까지 쏘고있으니...

 

지금,

차가운 세상을 바라보는     
당신의 눈은 어떻습니까?

-DEC150/늘 노래하는 큰 머슴-

 

 
♪ Dvorak - Going Home / Libera boys choir ♪
 

 
☞ 여기를 클릭하면 DEC(대구장로합창단) 홈페이지로 옮겨집니다 ☜
-www.dechoir.net-
ㆍ작성자 : 박김승남 박 장로님,
좋은 글 읽고 손수건을 사용한 후 글 올립니다.
마음씨 고운 이런 딸같은 여식을
며느리로 삼았으면 좋겠는데...^^*
울다 웃으면 뭐 된다는데?
바로 제꼴이였네요!
감동의 멋진 글에 감사!
등록일 : 2010-01-30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 왼손이 모르는 구원(救援) ♡ (0) 순례자 2010-01-19 1846
2  ♧ 멋진 교회 이야기 ♧ (0) 온누리 2010-01-15 1454
3  ♡ 추위를 녹여줄 가슴 따뜻한 이야기 ♡ (0) 순례자 2010-01-13 1402
4  ♡ 새로운 한 해의 삶을 위한 기도 ♡ (0) amenpark 2010-01-11 1402
5  ♧ 나다나엘 특별새벽기도주간을 앞두고… ♧ (1) 큰 머슴 2010-01-08 1425
6  * 하얀 눈이 쌓인 까닭은… * (0) amenpark 2010-01-06 1385
7  ♧ 감동적인 사진으로 보는 '닉 부이치치'의 삶 ♧ (0) 온누리 2010-01-01 1478
8  보라 옛 것은 지나 같으니 새 것이... (0) 노래 나그네 2009-12-31 1405
9   ♥ 가슴 따뜻해지는 이야기 "우동 한 그릇" ♥ (0) amenpark 2009-12-30 1736
10  카네기의 인간관계 삼십훈(三十訓) (0) 김재양 2009-12-29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