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유 한 잔의 치료비 ♡ 작성자 홍순덕/T1 2012-09-26 조회 1825

 우유 한 잔의 치료비

 

19세기 미국, 정확하게는 1880년 여름, 가가호호를 방문해서

 

이것 저것을 파는 가난한 고학생 젊은이가 있었습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방문판매를 다녔고,

 

저녁이 되었을 때에는 지쳤고, 배가 고팠습니다.

 

주머니에는 다임(10센트) 동전 하나 밖에는 없었고,

 

그것으로는 적당한 것을 먹을 수도 없었습니다.

 

다음 집에 가서는 먹을 것을 좀 달라고 해야지 하면서

 

발걸음을 옮겼고, 그 집 문을 두드렸습니다.

 

 



이윽고 문이 열리고, 예쁜 소녀가 나왔습니다.

 

젊은이는 부끄러워서 배고프다는 말을 못했고

 

다만 물 한잔만 달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 소녀는 이 사람이 배가 고프다는 사실을 알았고,

 

그래서 큰 컵에 우유 한 잔을 내왔습니다.

 

 

젊은이는 그 우유를 단숨에 마셨고,

 

새로운 힘이 나는 듯 했습니다.

 

그리고는 얼마를 드려야 하냐고 물었습니다.

 

소녀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엄마는 친절을 베풀면서 돈을 받지 말라고 하셨다'

(Mother has taught us never accept pay for a kindness)

고 말했습니다.
 

젊은이는 이 말에 큰 깨우침을 얻었습니다.

그로부터 십 수 년이 지난 후,

 

그 소녀는 중병에 걸렸고,

 

그 도시의 병원에서는 감당할 수 없는 병이라고 했습니다.

 

다행히 큰 병원의 의사는

 

큰 도시의 전문의를 불러오면 고칠 수 있다고 했고,

 

그래서 오게 된 의사는

 

하워드 켈리(1858-1943년) 박사,

 

그 소녀에게 우유 한 잔을 얻어 마셨던

 

바로 그 젊은이였습니다.

 

그 때 방문 판매를 했던 그 고학생 하워드 켈리는

 

산부인과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존재로

 

명문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창설 멤버이기도 했습니다.

 

하워드 켈리 박사는 환자를 보고

 

한 번에 그 녀임을 알아보았고,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의료기술을 동원해서

 

그 녀를 치료했습니다.


 

 

 

결국 부인과질환으로 상당히 힘든 케이스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치료에 성공했습니다.

 

하워드 켈리 박사는 치료비 청구서를 보냈습니다.

 

환자는 엄청나게 많이 나올 치료비를 생각하며

 

청구서를 뜯었습니다.

 

청구서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습니다.

 

 

'한 잔의 우유로 모두 지불되었음'

 

   

                    Ennio Morricone - Nella Fantasia/The Turtle Creek Chorale

          

ㆍ작성자 : 큰 머슴 아름다운 감동과 함께
이웃사랑을 잔잔하게 느끼게 하는...
싸늘한 가을날 아침에 따뜻한 글 띄우신
T1의 홍장로님~
탱큐!
등록일 : 2012-09-26
작성자 비밀번호
※ 간단한 코멘트 남기세요▼
장로합창단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 조회수
1  ♤ 산들바람에 실어 띄우는 10월호 단보는… ♤ (4) amenpark 2012-09-21 1194
2  ♧ 누구나 장애인이 될 수 있기에... ♧ (7) 큰 머슴 2012-09-16 1246
3  ♥ 이선봉 장로(총무/성광교회)딸 현진 양 결혼식 ♥ (0) 대장합 2012-09-14 1157
4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수증 ♡ (6) amenpark 2012-09-14 1224
5  ♥ 9월 15일(土) 같은 날 T1 두 장로님댁의 따님 결혼식 ♥ (0) 대장합 2012-09-11 1155
6  ♠ 가을비 오는 언덕길의 동원교회를 다녀와서... ♠ (7) 큰 머슴 2012-09-09 1284
7   † 하나님 아들로서의 권위 † (10) amenpark 2012-09-08 1274
8  ♧ "사랑의 눈으로..." ♧ (4) 큰 머슴 2012-09-05 1346
9   ♪ 2012--하반기 첫 연주/동원교회 창립50주년 축하연주회 (0) 대장합 2012-09-05 1137
10  ♤ 어쩌면 좋을까? ♤ (10) amenpark 2012-09-01 1359